건축물 시가표준액 조회와 계산 방법 및 건물 공시지가 조회

건축물 시가표준액 조회와 계산 방법 및 건물 공시지가 조회

건물 공시지가(=시가표준액, 기준시가)는 건물과 대지의 합산액을 의미합니다. 건축물 시가표준액 조회는 이택스(etax)나 위택스(wetax)에서 가능하며, 대지의 시가표준액은 공시지가 알리미 사이트에서 조회 후 면적을 곱해 계산합니다. 건물과 대지의 시가표준액을 합산해야 진정한 시가표준액을 구할 수 있으며, 구조, 용도, 위치, 면적 등을 고려하여 계산됩니다. 예를 들어, 서울 명동의 상업용 건물의 시가표준액은 약 1660억원으로 계산됩니다.

다양한 건축물 유형

서울 명동 건물의 시가표준액 확인

서울 명동에 위치한 한 건물의 시가표준액을 확인해보겠습니다.
이 건물은 서울 중구 명동1가 53-1에 위치하며, 지하에 다이소가 입점하고 있습니다.

건물의 시가표준액 조회 방법

공시지가란 토지의 적정가격을 의미하며, 건물의 적정가격은 건물의 시가표준액 또는 건물의 기준시가로 표현됩니다.

건물의 시가표준액은 지방세법에 의해 규정되며, 토지 및 주택과 주택 이외의 건축물로 구분됩니다.
주택 이외의 건축물은 오피스텔과 오피스텔이 아닌 건축물로 분류됩니다.

  1. 주택 이외의 건축물
    • 오피스텔이 아닌 건축물의 시가표준액

따라서, 이 건물을 포함하여 시가표준액을 조회하고 계산하기 위해서는 먼저 건물의 시가표준액을 확인한 후, 해당 건물이 위치한 대지의 시가표준액을 조회하여 합산해야 합니다.

건축물 시가표준액 확인하기

서울시 건물 시가표준액 확인 방법

서울에 위치한 건물의 시가표준액을 확인하려면 먼저 이택스(etax) 사이트를 방문해야 합니다.
이택스 사이트에서 [extax 이용안내]를 클릭한 후 [조회/발급] 메뉴를 선택합니다.
만약 건물이 서울이 아닌 다른 지역에 위치한다면 해당 지방의 인터넷 세금납부 사이트인 위택스(wetax)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택스 사이트에서 [조회/발급]을 클릭하면 다양한 조회 기능이 있는 화면이 나타납니다.
여기서 [주택 외 건물의 시가표준액 조회]를 선택하면 됩니다.

건물 시가표준액 확인 사례

예를 들어, 서울 명동 중심지에 위치한 한 건물(서울 중구 명동1가 53-1)의 시가표준액을 확인해보면 약 49억원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 건물은 대지 면적과 연면적이 넓어서 시가표준액이 높게 책정된 것입니다.

다만, 이 49억원은 건물 자체의 가치만을 반영한 것이므로 해당 대지의 가치를 확인한 후 종합하여 실제 시가표준액을 계산해야 합니다.

건물 대지 시가표준액 조회법

건축물의 대지의 시가표준액

건물 소유자들은 대지의 시가표준액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지의 시가표준액은 토지의 시가표준액을 의미하며, 이는 개별공시지가를 나타냅니다.
건물이 위치한 대지의 시가표준액을 알아내기 위해서는 공시지가 알리미 사이트에서 [개별공시지가]를 클릭하면 됩니다.

일사편리를 통한 대지의 시가표준액 조회

일사편리 바로가기를 클릭하면 해당 지역을 선택하는 화면이 나타납니다.
예를 들어, 서울에 위치한 건물의 경우 [서울특별시]를 선택하면 서울의 일사편리 사이트로 이동하게 됩니다.

일사편리 사이트에서 서울 명동 거리에 위치한 빌딩(서울 중구 명동1가 53-1)의 주소를 선택하고 검색을 클릭하면 대지 면적과 최신 개별공시지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5년 기준, 서울 명동에 위치한 건물의 개별공시지가는 1제곱미터당 1.59억원(158,800,000원)이며, 대지 면적은 1014.4m2입니다.

건축물 시가표준액 산정법 안내

서울 명동 빌딩의 시가표준액 조회

서울 명동에 위치한 빌딩의 시가표준액을 조회해보니 약 49억원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 정보는 서울시 이택스 또는 지방세 위택스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서울 명동 빌딩이 위치한 대지의 시가표준액 조회 및 계산

빌딩 대지의 시가표준액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대지의 개별공시지가를 알아야 합니다.
서울 명동에 위치한 빌딩 대지의 개별공시지가는 1억 5880만원이며, 대지 면적은 1014.4 제곱미터입니다.
이를 곱하면 대지의 시가표준액이 1610억원으로 계산됩니다.

  • 건물 대지의 시가표준액 = 건물 대지의 개별공시지가 X 대지 면적
  • 161,086,720,000원 = 158,800,000원/m2 X 1014.4m2

서울 명동 빌딩 시가표준액 계산

명동 거리에 있는 건물 자체의 시가표준액 49억원과 대지의 시가표준액 1610억원을 합산하면 총 1660억원이 됩니다.

건물 시가표준액 = 건축물 시가표준액 49억원 + 대지의 시가표준액 1610억원 = 1660억원

건축물 시가표준액 산정하는 방법

건축물 시가표준액 계산 방법

건물 시가표준액은 건물신축가격을 기준으로 구조, 용도, 위치, 면적을 고려하여 계산됩니다.
또한, 신축연도와 감가상각률을 고려하여 잔가율을 정하고, 가감산율을 곱합니다.

건축물 시가표준액의 기준액

건축물 시가표준액은 오피스텔과 일반 건축물로 구분되며, 오피스텔은 표준가격기준액을 기준으로 하고, 오피스텔이 아닌 건축물은 건물신축가격기준액을 기준으로 합니다.
2023년에는 건물신축가격기준액이 용도별로 구분되었습니다.

건물 시가표준액 구조지수

건물의 구조에 따라 구조지수를 적용하는데, 철근콘크리트조와 같은 구조의 경우 기준액에 1을 곱합니다.

건물 시가표준액 용도지수

건물의 주용도에 해당하는 지수를 적용하며, 공용부분은 전용면적에 따라 분배됩니다.
상업용 건축물의 경우 2023년 기준액은 80만원입니다.

건물 시가표준액 위치지수

위치지수는 부속토지의 개별공시지가를 기준으로 산정되며, 여러 필지의 경우 평균 가격이 적용됩니다.
예를 들어, A필지와 B필지의 경우 평균 개별공시지가를 계산하여 위치지수를 산정합니다.

건물 시가표준액 잔가율

건물의 경과연수에 따른 잔가율을 계산하는데, 내용연수와 상각률을 고려하여 잔가율을 산정합니다.

건물 시가표준액 계산 사례

예를 들어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상업용 건물의 건물신축가격기준액을 계산해보면 60,188,620,800원이 됩니다.
각 항목을 고려하여 정확한 시가표준액을 산정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