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행정구역 현황과 기초연금에서의 기본재산액 공제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였습니다. 대도시, 중소도시, 농어촌에 해당하는 지역을 구분하는 기준과 특별시, 광역시, 특례시, 특별자치시, 도, 특별자치도 등의 행정구역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초연금 소득인정액을 계산할 때, 대도시는 1억 3500만원, 중소도시는 8500만원, 농어촌은 7250만원이 기본재산액으로 공제됩니다.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경기도 등의 구 및 시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국 행정구역 목록
서울특별시의 25개 구
서울특별시는 한국의 특별시 중 유일하게 존재하는 도시이며, 서울특별시는 25개의 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구는 독특한 매력과 역사를 지니고 있어 다양한 관광 명소와 문화 시설을 제공합니다.
- 종로구
- 중구
- 용산구
- 성동구
- 광진구
- 동대문구
- 중랑구
- 성북구
- 강북구
- 도봉구
- 노원구
- 은평구
- 서대문구
- 마포구
- 양천구
- 강서구
- 구로구
- 금천구
- 영등포구
- 동작구
- 관악구
- 서초구
- 강남구
- 송파구
- 강동구
6개 광역시 소개
한국에는 6개의 광역시가 있으며, 각 광역시는 독특한 문화와 역사를 지니고 있습니다.
2025년 현재, 다음과 같은 광역시가 있습니다.
- 부산광역시 : 15개의 구 및 1개의 군(기장군)
- 대구광역시 : 7개의 구 및 1개의 군(달성군)
- 인천광역시 : 8개의 구 및 2개의 군(강화군, 옹진군)
- 광주광역시 : 5개의 구
- 대전광역시 : 5개의 구
- 울산광역시 : 4개의 구 및 1개의 군(울주군)
광역시 도농복합군은 다음과 같습니다.
- 부산광역시 기장군
- 대구광역시 달성군
- 인천광역시 강화군 및 옹진군
- 울산광역시 울주군
인구 100만 이상의 특례시
한국의 지방자치법에 따르면, 인구 100만 이상의 대도시는 특례시로 지정됩니다.
2025년 현재, 인구 100만 이상인 다음 5개 도시가 특례시로 승격되었습니다.
- 수원특례시
- 용인특례시
- 고양특례시
- 화성특례시
- 창원특례시
세종특별자치시
한국의 특별자치시에는 세종특별자치시만 존재합니다.
세종특별자치시는 한반도 중앙에 위치하여 정부의 중심지로 기능하고 있습니다.
8개 도와 시, 군 정보
한국에는 8개의 도가 있으며, 각 도에는 다양한 시와 군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025년 현재, 다음과 같은 도와 시, 군이 있습니다.
- 경기도 : 28개의 시 및 3개의 군
- 강원도 : 7개의 시 및 11개의 군
- 충청북도 : 3개의 시 및 8개의 군
- 충청남도 : 8개의 시 및 7개의 군
- 전라북도 : 6개의 시 및 8개의 군
- 전라남도 : 5개의 시 및 17개의 군
- 경상북도 : 10개의 시 및 13개의 군
- 경상남도 : 8개의 시 및 10개의 군
제주특별자치도 소개
한국의 특별자치도인 제주특별자치도는 아름다운 자연 경관과 특색 있는 문화를 지닌 곳으로 유명합니다.
제주특별자치도에는 다음과 같은 시가 있습니다.
- 제주시
- 서귀포시
대한민국 행정구역 목록 다운로드하기
2025년 최신 행정구역 및 인구 현황 정보
2025년 현재 대한민국의 행정구역 및 인구 현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이 정보는 실제 데이터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정확한 통계 및 동향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행정구역 리스트 다운로드
이를 통해 각 지역의 인구 현황 및 행정 구역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행정구역 및 인구 현황 데이터
2025년을 기준으로 대한민국의 행정구역과 인구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서울특별시: 인구 9,700,000명
- 부산광역시: 인구 3,400,000명
- 인천광역시: 인구 2,900,000명
- 대구광역시: 인구 2,500,000명
위 데이터는 2025년 기준으로 측정된 인구 현황을 나타내고 있으며, 각 지역의 행정구역과 인구 특성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이와 같은 데이터를 통해 대한민국의 행정구역 및 인구 현황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가지고, 지역별 특성을 파악하여 다양한 분석과 비교를 할 수 있습니다.
연금 수령과 지역 분류
기초연금 수급자격과 소득 계산 방법
기초연금 재산기준과 통장잔고 최대 금액
기초연금 대도시
- 특별시의 구: 서울특별시의 25구 전부
- 광역시의 구(도농복합군 포함): 광역시의 구 및 군 전부
- 특례시: 수원시, 용인시, 고양시, 창원시
대도시에 속하는 거주지에 따라 기초연금 소득인정금액이 달라지며, 대도시에 속하는 경우 1억 3500만원이 기본재산액으로 공제됩니다.
기초연금 중소도시
- 도의 시: 각 도에 있는 시
- 세종특별자치시
중소도시에 속하는 거주지에 따라 기초연금 소득인정액이 변동되며, 중소도시에 해당하는 경우 8500만원이 기본재산액으로 공제됩니다.
기초연금 농어촌
- 도의 군: 각 도에 있는 군
농어촌에 거주하는 경우 기초연금 소득인정액은 7250만원이 기본재산액으로 공제됩니다.